마른김은 '금값'인데…바다에 버려지는 '물김' 6천톤 폐기?

12일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산지위판장에서 폐기된 물김은 무려 5,989톤에 달한다.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% 이상 증가한 수치다. 특히 전남 지역의 폐기량이 5,296톤으로 가장 많았고, 경인, 전북, 충남, 부산 순으로 나타났다.
물김 폐기가 속출하는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'풍년' 때문이다. 지난해 김 수출 호조와 가격 상승으로 양식업에 뛰어드는 어민들이 크게 늘어난 데다, 해수부의 신규 양식장 허가, 불법 양식까지 더해져 생산량이 급증했다.

실제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남 지역의 물김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7.6% 증가했고, 부산과 충남은 각각 76.9%, 64.9% 급증했다.
문제는 늘어난 생산량에 비해 김 가공 업체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이다. 결국 경매에서 팔리지 못한 물김은 폐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. 실제로 지난달 위판된 물김 가격은 ㎏당 평균 762원으로 작년(1,655원)보다 무려 54%나 폭락했다.
반면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마른김 가격은 고공행진 중이다.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11일 기준 마른김 가격은 장당 145원으로 평년보다 55.5%, 작년보다 31.9%나 비싸다.
물김 폐기 사태가 심각해지자 해수부는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물김 계약재배를 시범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. 하지만 수산물 계약재배 경험 부족 등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실효성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.
김 풍년이 오히려 생산자에게는 시름을 안겨주고 소비자에게는 부담을 가중시키는 모순적인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. 생산량 조절, 유통구조 개선, 수출 시장 다변화 등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.